[ 계좌번호 ] 하나은행 154-910017-74805 김경아
[ 문 의 ]
• 투고 관련: 편집간사 kjgedu@gmail.com
• 입금 관련: 재무간사 kagedu@nate.com
• 증명서 관련: 편집간사 kjgedu@gmail.com
[ 주 의 ]
각 단계별 입금 미확인 시, 논문심사 및 게재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음(2021.01.18.부터 적용)
입회비, 연회비, 투고료 사항: ‘논문투고 마감일’ 이후 미입금되어 논문진행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투고자에게 개별적으로 연락드림.
따라서 논문투고 후 입금 확인메일은 보내지 않으셔도 됩니다.
한국교양교육학회의 학회지 ‘교양교육연구’의 논문 투고에 관한 규정을 둔다.
학회지는 연 6회 발간한다.
학회 정회원이 투고 자격을 갖는다.
온라인투고 시스템을 이용한다.
논문 작성 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논문의 형식은 논문작성지침서에 따른다.
심사용 원고에는 투고자의 인적 사항이 드러나지 않게 한다.
반려 판정을 받은 논문의 무수정 재투고는 불가하다.
연속 게재는 제한한다.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과 부가 사용권은 논문의 저자(들)에게서 학회에 귀속된다.
이 규정에 명시하지 않은 사항은 일반 관례를 따른다.
이 규정은 2010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이 개정 규정은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목, 저자, 목차, 본문, 참고 문헌, 초록(한글/영문)”의 순서로 작성한다. 한국어 논문에는 맨 끝에 영문 초록을 첨부하고, 영어 논문은 한글 초록을 끝에 첨부한다.
주제목만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부제를 쓸 때는 주제목에 이어지는 부분에 줄표(-)를 쓴다.
*제목 표기 예시: 교양교육 표기 방법 연구-참고문헌을 중심으로저자의 소속, 직위와 이메일을 각주로 표시한다. 공동 저작의 경우에 주저자(제1저자, 교신저자)를 소속 앞에 표기한다.
* 단독 논문의 저자 표기 예시: 교양대학교 교수, kj12@lac.edu
* 공동 논문의 저자 표기 예시: 제1저자, 대한대학교 교수,abcd12@daehan.ac.kr
1) 교신저자, 민국대학교 교수, efg@minguk.edu
2) 공동저자, 교육대학교 교수, hi2017@edu.ac.kr
* 소속 및 직위 표기 예시소속 | 직위 | 표시할 사항 |
---|---|---|
대학 소속 | 교수 | 성명/ 00대학/ 교수 |
강사 | 성명/ 00대학/ 강사 | |
학생 | 성명/ 00대학/ 학생 | |
박사후연구원 | 성명/ 00대학/ 박사후연구원 | |
초중등 학교 소속 | 학생 | 성명/ 00학교/ 학생 |
교사 | 성명/ 00학교/ 교사 | |
기타 | 소속/직위가 없는 경우 | 성명 |
목차의 기호는 “1. 1.1. 1.1.1.”로 표기한다. 3단계 이내를 원칙으로 하고, 4단계를 쓸 때는 “① ② ③”으로 쓴다.
기호는 목차의 것과 같이 한다. 인용문의 경우 출처 표기는 각주를 사용하지 않는다. 본문 내에 “저자(연도: 쪽수)” 또는 “(저자, 연도: 쪽수) 등으로 내주를 쓴다.
*내주 표기 예시: 홍길동(2013: 37) 또는 (홍길동, 2013: 37-43)“동양서, 서양서, 웹사이트”의 순서로 쓰고, 정렬 순서는 저자 이름 순으로 한다. 학술지 논문은 “저자, (연도). 논문제목, 논문집 권(호), 시작쪽-끝쪽.”으로 표기한다. 저서는 “저자, (연도). 책제목, 출판사.”로 적는다. 논문 제목은 큰 따옴표(“ ”) 안에 두고, 책 제목은 이탤릭체로 쓴다. 각 요소는 반점(,)으로 구분하고, 연도 뒤와 약어 뒤, 끝에 온점(.)을 쓴다.
*한국어 문헌 표기 예시: 김철수, 이철수(2015). “교양교육 논문의 표기법”, 교양교육연구9(1), 교양교육학회, 56-80. *영어 문헌 표기 예시: Hong, Gildong(1991). “History and the Issue of Korean Unificatio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 AJLAC, 40-50. *사용 제한(다음의 것 사용 않음): 가운뎃점(?), 물결표시(~), 낫표&겹낫표(「 」,『 』),권/호 표기(권, 호, 집), 쪽 표기(쪽, 면 p, pp)
초록은 “제목, 저자(소속), 요약문, 주제어”로 구성하되, 한글과 영문 버전으로 작성한다. 요약문에는 “연구의 목적, 대상, 방법이나 절차, 결과”를 빠짐없이 쓰고, 주제어는 5-6개로 적는다. 요약문의 분량은 한글 기준 400-600자, 3-4개 문단으로 한다. 요약문과 주제어는 한글과 영문 버전의 내용이 같게 한다.
심사용 논문에는 저자의 이름, 소속, 이메일, 전화 등 일체의 정보를 표기하지 않는다.
이 지침서는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이 개정 지침서는 2018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